자료와 정보자료의 정의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value)이나 사실(fact)우리의 생활에서 실제러 만질 수 있거나 볼 수 있는 것  (길이, 무게, 부피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해서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하여 얻어낼 수 있는 내용정보의 정의어떤 상황에 대해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서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내용어떠한 상황에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거나 분류되기 위해 '처리 과정'을 거쳐서 정리되고 정돈된 '자료'의  2차 처리 결과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I = P(D)I = informationP = processD = data 추상화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명령어설명ls디렉토리 목록을 표시cd디렉토리 변경pwd현재 디렉토리 경로 표시mkdir새 디렉토리 생성rmdir빈 디렉토리 삭제rm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cp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사mv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또는 이름 변경touch새 파일 생성 또는 파일의 시간 갱신ln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링크 생성 파일 내용 조회 및 편집명령어설명cat파일 내용 출력less파일 내용 페이징more파일 내용 페이징head파일의 처음 몇 줄 출력tail파일의 마지막 몇 줄 출력nano파일 편집기 열기vim파일 편집기 열기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명령어설명chmod파일 또는 디렉토리 권한 변경chown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변경 시스템 정보 및 관리명령어설명df파일 시스템 디스크 공간 사용량du디렉..
리눅스의 특징다중 사용자와 멀티태스킹 지원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함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함신뢰성과 성능 보장높은 안정성과 이식성을 제공하고, 서버 용도로 사용 가능CUI/GUI 지원Character UI : 문자(또는 명령 행) 입력을 셸(shell)이 처리함Craphical UI : X 윈도우와 GNOME, KDE 등 데스크톱공개 소스로서 빠르게 발전하고 보완됨여러 종류의 파일 시스템 지원ex4, FAT, NTFS, Minix 등셸 이용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작업 관리를 위한 스크립트의 작성과 실행 가능효율적인 하드웨어 활용인터넷의 모든 기능 지원웹 브라우저, 웹 서버, 메일 클라이언트, 메일 서버, DNS, 방화벽 등오픈소스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저작권자인 개발자가 자신이 만든 소프트웨..
데이터와 통계적 데이터데이터(data)는 관심있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 수집된 구조화된 정보(oraganized information)이다. 일반적인 의미의 데이터는 수치, 문자, 그림 등의 표현양식과 관계없이 어떤 주제에 대한 구조화된 정보를 뜻한다. 데이터가 갖는 몇가지 특징데이터는 구조화되어 있어야 한다.데이터는 분석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정보(information)가 된다.데이터는 수집되는 것이다.데이터는  어떤 주제 또는 관심있는 주제에 대한 것이여야 한다.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분석하는 목적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기술적인 목적인 경우단순한 현상의 파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어떤 현상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그러한 현상이 왜 나타나게 되었는지는 규명하기 위해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경제현..
자료 구조의 정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우선적인 고려사항은 저장 공간의 효율성과 실행시간의 신속성이다.자료 구조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과 저장된 그룹 내에 존재하는 자료 간의 관계, 처리 방법 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 Algorithm(알고리즘 또는 알고리듬)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 문제풀이에 필요한 계산절차 또는 처리과정의 순서다.알고리즘의 중요한 특징은 같은 지식수준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알고리즘을 보고 누구나 같은 결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 요리의 레시피(recipe)에 비유해 볼 수 있다.보통 자료 구조가 선택되면 그에 적용할 알고리즘..
속성(Attribute)이란? 속성은 엔터티의 특징을 나타내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이다.※ 속성(Attribute)는 왜 분리되지 않는 단위인가?속성은 하나의 값만 가져야 한다. 그래야 해당 속성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의미가 있고 그렇기에 멀티 파트가 되는 속성들은 쪼개서 하나의 의미만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 하나의 속성이 여러개의 속성값을 갖는 경우 별도의 엔터티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성(Attribute)를 설정할 때 고려사항엔터티에 필요한 속성인가?속성이 하나의 값만을 가지고 있는가?속성이 하나의 의미만 가지고 있는가?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속성이 하나만 존재하는가?  속성의 분류 특성에 따른 속성의 종류종류설명기본 속성(Basic Attribute)-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
엔터티(Entity)란? 엔터티(Entity)의 사전적인 의미는 독립체라는 뜻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터티는 식별이 가능한 객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엔터티는 추상적인 의미를 가지며 학교나 학생처럼 현실 세계에서 눈에 보이는 개념일 수도 있고 주문이나 결제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일 수도 있다.엔터티(Entity) - Table : 엔터티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다.인스턴스(Instance) - Row : 인스턴스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내용의 전체 집합을 의미한다. 속성(Attribute) - Column : 속성은 인스턴스의 구성요소로써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단위로,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엔터티의 특징 1.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여야 한..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Modeling)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은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모델링의 특징1. 추상화(Abstraction)=>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아이디어나 개념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과정이다.2. 단순화(Simplification)=> 복잡한 현실 세계를 정해진 표기법으로 단순하고 쉽게 표현한다는 의미이다.3. 명확화(Clarity)=> 불분명함을 제거하고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는 의미이다.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1. 데이터 관점(What, Data)=> 데이터 위주의 모델링. 어떤 데이터들이 업무와 얽혀있는지, 그리고 그 데이터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이다.2. 프로세스 관점(How, Process)=..
프로토콜(Protocol)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프로토콜 종류 OSI 7계층 Layer 계층설명프로토콜상위계층응용(Application)사용자 친화 환경 제공(이메일, 웹 등)HTTP, SMTP, FTP, Telnet표현(P..
운영체제의 개념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이다.  운영체제의 목적 ✅ 처리능력 향상✅ 사용 가능도 향상✅ 신뢰도 향상✅ 반환 시간 단축항 목설 명반환 시간 (Turn Around Time)시스템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처리 능력 (Throughput)시스템의 생산성을 나태내는 단위.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사용 가능도 (Availability)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신뢰도 (Reliability)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운영체제의 기능 ✅ 자원관리컴퓨터 시스템 자원 효율..
Rizy
'[IT 지식]/컴퓨터과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