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성(Attribute)이란?
속성은 엔터티의 특징을 나타내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이다.
※ 속성(Attribute)는 왜 분리되지 않는 단위인가? 속성은 하나의 값만 가져야 한다. 그래야 해당 속성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의미가 있고 그렇기에 멀티 파트가 되는 속성들은 쪼개서 하나의 의미만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 하나의 속성이 여러개의 속성값을 갖는 경우 별도의 엔터티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속성(Attribute)를 설정할 때 고려사항
- 엔터티에 필요한 속성인가?
- 속성이 하나의 값만을 가지고 있는가?
- 속성이 하나의 의미만 가지고 있는가?
-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속성이 하나만 존재하는가?
속성의 분류
특성에 따른 속성의 종류
종류 | 설명 |
기본 속성 (Basic Attribute) |
-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바로 정의가 가능한 속성 - 예) 회원ID, 이름, 계좌번호, 주문 일자 등 |
설계 속성 (Designed Attribute) |
- 업무에는 존재하지는 않지만 설계하다 보니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도출해낸 속성 - 예) 상품코드, 사번 등 |
파생 속성 (Derived Attribute) |
- 다른 속성의 속성값을 계산하거나 특정한 규칙으로 변형하여 생성한 속성 - 예) 합계, 평균 등 |
분해 여부에 따른 속성의 종류
종류 | 설명 |
단일 속성 | - 하나의 이미로 구성된 것으로 회원ID, 이름 등을 말한다. |
복합 속성 | - 여러개의 의미가 있는것으로 대표적으로 주소가 있다. - 주소는 시, 군, 동 등으로 분해될 수 있다. |
다중값 속성 | - 속성에 여러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품리스트가 있다. - 다중값 속성은 엔터티로 분해가 가능하다. |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종류 | 설명 |
PK(Primary Key) 속성 | - 엔터티의 인스턴스들을 식별할 수 있는 속성 예) 상품 엔터티의 상품코드, 학생 엔터티의 학번, 직원 엔터티의 사번 |
FK(Foreign Key) 속성 | - 다른 엔터티의 속성에서 가져온 속성 예) 직원 엔터티의 부서코드, 학생 엔터티의 학과코드, 회원 엔터티의 회원등급코드 |
일반속성 | - PK, FK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 예) 상품 엔터티의 상품명,가격 / 학생 엔터티의 이름, 생년월일 |
'[IT 지식] > 컴퓨터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정보처리입문 핵심용어 정리 (0) | 2024.05.31 |
---|---|
자료 구조의 개념 및 종류 정리 (0) | 2023.01.21 |
[데이터베이스] 엔터티(Entity) 정리 (0) | 2023.01.14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0) | 2023.01.13 |
[Network] 프로토콜(Protocol) 정리 - 개념, 종류, 기능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