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Modeling)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은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모델링의 특징
1. 추상화(Abstraction)
=>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아이디어나 개념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과정이다.
2. 단순화(Simplification)
=> 복잡한 현실 세계를 정해진 표기법으로 단순하고 쉽게 표현한다는 의미이다.
3. 명확화(Clarity)
=> 불분명함을 제거하고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는 의미이다.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1. 데이터 관점(What, Data)
=> 데이터 위주의 모델링. 어떤 데이터들이 업무와 얽혀있는지, 그리고 그 데이터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2. 프로세스 관점(How, Process)
=> 프로세스 위주의 모델링. 이 업무가 실제로 처리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앞으로 처리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지를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3.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 관점(Data vs. Process, Interaction)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관계를 위주로 한 모델링.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모델링의 세 가지 단계
1.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 전사적 데이터 모델링 수행 시 행해지며 추상화 레벨이 가장 높은 모델링이다. 이 단계에서는 업무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이 진행된다.
2.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 재사용성이 가장 높은 모델링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대한 Key, 속성, 관계 등을 모두 표현하는 단계이다.
3.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 실제 데이터베이스 구현할 수 있도록 성능이나 가용성 등의 물리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모델을 표현하는 단계이다.
3단계 스키마 구조
1.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사용자의 관점 : Multiple User's View 단계로 각 사용자가 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한다.
2.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통합된 관점 : Community View of DB 단계로 모든 사용자가 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통합하여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표현하고 데이터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3.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물리적인 관점 : Physical Representation 단계로 물리적인 저장 구조를 나타낸다. 실질적인 데이터의 저장 구조나 컬럼 정의, 인덱스 등이 포함된다.
3단계 스키마 구조가 보장하는 독립성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다.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개념 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다.
'[IT 지식] > 컴퓨터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속성(Attribute) 정리 (0) | 2023.01.14 |
---|---|
[데이터베이스] 엔터티(Entity) 정리 (0) | 2023.01.14 |
[Network] 프로토콜(Protocol) 정리 - 개념, 종류, 기능 (0) | 2023.01.12 |
[OS] 운영체제 정리 (0) | 2023.01.12 |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사전과제 (0) | 2022.09.20 |